추억하기/대딩(아주대)의 추억

농활(2)-1974년의 아름다웠던 추억

맨발나그네 2009. 6. 26. 18:33

농활(農活)

 

 농활. 농촌봉사활동의 줄임 말이죠. 대학교1학년, 2학년에 걸쳐 농활에 참여했습니다. 그런데 내겐 방학이 되면 시골 고향집에 내려가 젖소 먹이로 키우던 옥수수 밭을 매주고, 여러 가지 농사일을 거들어야 하는데, 남의집 일손을 돕는다는게 말이 안되는 소리이지만, 그당시에는 학교의 명예도 있고하여 농촌 경험이 많은 학생 위주로 농활팀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학생회 멤머 중심이기도 하였고요. 그래서 1973년 여름방학은 경기도 안성군 삼죽면에서, 1974년 여름방학은 충남 아산군 인주면에서 각각 2주일에 걸친 농활 경험을 가지고 있죠. 여담이지만 74년 여름 충남 아산군에서 지낸 2주일은 내 생애 가장 오랬동안 경기도 밖에서 지내본 경험이기도 하고요....... 이 농활을 통해 문교부장관 표창장이란걸 타보기도 했죠.

 

1974년 아산군 인주면 공세리 성당에서 숙식을 하였는데,

공세리성당은 1895년 세워졌다. 지금의 고딕 양식 성당은 프랑스 출신의 드비즈 신부가 1922년 중국인 기술자를 데려와 지은 것으로 성당 터는 조선시대 충청·전라·경상도 일대에서 거둔 조세를 쌓아두었던 공세창고가 있던 자리다.

공세리 성당은 천주교 신자들에겐 순교성지다. 아산, 서산, 당진, 홍성, 예산 등 내포 지방은 순교자들이 유독 많은 곳이다.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 천주교가 다른 지방에 비해 먼저 전래됐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4대 박해기간 동안 천주교 순교자를 보통 1만 명 정도로 추산하는데 이중 내포와 충청권이 60~70% 정도나 된다. 공세리 성당 출신의 순교자도 28명. 이중 박의서, 원서, 익서 3형제 순교자의 묘가 지금도 남아 있다.

‘이명래 고약’도 바로 공세리 성당에서 유래했다. 이조참판을 지낸 박만선이 이 일대 사람들이 너무 가난하게 사는 것을 보고 간척사업을 벌였다. 대를 이어 80년 동안 이어진 어렵고 힘든 간척사업. 고된 노동으로 몸이 닳고 헐어 고생하는 일꾼들을 위해 고약을 개발한 사람은 바로 성당을 지은 드비즈 신부였다. 오남한 신부는 “처음에는 드비즈 신부의 한국 이름을 따서 ‘성일론(成一論) 고약’으로 나왔고, 후에 고약비법은 드비즈 신부의 심부름꾼이었던 이명래에게 전수됐다”고 했다.

또한, 2006년 <태극기 휘날리며>의 임시 야전병원장면을 찍었다고 한다.

이런곳에서 그 옛날 2주간 숙식을 한 인연이면 큰 인연 아니겠는가?

 

 

 (아산군청에 들려 신고식)

 

 (장마에 붕괴된 경사지 복구작업)

 

 (복구작업중 막걸리로 피로를 풀고 있다- 그런데 그때에도 나는 맨발이었네.........ㅎㅎㅎ)

 

                                  (복구 완료된 경사지)

 

 (마을 배로수 정비)

 

 (마을 배수로 정비작업과 휴식)

 

 (아침 6시면 기상하여 식사당번을 제외하고 마을 안길 청소도 하고....)

 

 (학장님의 위로 방문도 받고)

 

 (어린이 잔치에 앞서 기념촬영)

 

 (어린이 잔치에서의 학생들 - 이중에는 그때의 추억을 안고 작가도 있고, 화가도 탄생했겠지?)

 

 (휴식시간에 지도교수와 바둑 삼매경, 아마 4-5점은 깔고 하였던거 같다)

 

 (마을 청년들과의 축구시합)

 

 (농활을 끝내고 마을을 떠나며)

 

 (귀가길에 현충사도 참배하고)

 

 (돌아오는길에 들른 아산만 방조제 - 1973년 완공되었으니 바로 그다음해 여름에 들린것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