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 조깅이 운동화보다 건강
-
댓글 0
'건강을 위해서라면 맨발로 달려라!'
나이키나 아디다스, 퓨마 등 세계적 스포츠화 업체가 기절초풍할 일이 세계 유명 대학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고 이 논문이 세계 유수 학술지에 실렸다.
28일(한국시간) AFP통신과 국제적 과학잡지 네이처 최신호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대 대니얼 리버만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맨발로 달렸을 때 발이 건강해지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 건강하게 잘 달리고 싶다면 운동화를 벗고 맨발로 뛰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조깅 상식을 뛰어넘는 것이다.
리버만 교수는 운동화를 신은 집단과 맨발로 달리는 집단, 운동화를 신었다가 맨발로 돌아선 집단 등 세 그룹의 걸음걸이를 바이오메카닉스 분석을 통해 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먼저 운동화를 신은 집단의 4분의 3은 1마일(1.609㎞)을 뛸 때 발뒤꿈치를 1000번 정도 지면에 직각으로 내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화는 발뒤꿈치와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해 발 전면에 고루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 하지만 실험 결과 운동화를 신은 사람들의 30~75%는 해마다 반복적인 발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맨발로 뛰는 집단은 발뒤꿈치를 내딛는 주법을 피하는 대신 발의 측면과 발바닥 앞쪽에 튀어나온 볼을 이용해 달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만큼 충격도 덜 받는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리버만 교수는 "발뒤꿈치를 이용하는 것보다 발의 앞 또는 옆쪽을 사용하면 발이 받는 충격도 훨씬 줄어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다수가 맨발로 뛰는 게 위험하고 다치기 쉽다고 생각하지만 그동안 쓰지 않았던 발 근육만 키운다면 아무리 거친 표면이라도 불편함이나 고통 없이 누구나 잘 달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증명하듯 동아프리카 대륙의 몇몇 나라에서는 맨발로 뛰었던 장거리 선수들이 있었다. 1960년 로마올림픽 마라톤에서 맨발로 뛰어 우승한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가 대표적이다.
네이처 1월호는 리버만 교수의 이같은 연구결과를 표지기사로 다뤘다. 네이처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대니얼 리버만과 공동 연구원들에 의한 바이오메카닉스 분석을 통해 맨발이 훨씬 더 편할 뿐 아니라 충격에 의한 반복적인 스트레스성 손상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운동학 및 역학적인 분석을 통해 현대식 신발은 사람들이 걸을 때 발뒤꿈치로 착지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고, 신발을 신지 않은 사람들은 발의 엄지발가락 뒤 볼록한 부분 또는 발을 편평하게 해 걸었다고 보도했다. 안창이 있는 신발이 걸을 때 뒤꿈치 착지를 만든다는 것이다.
리버만 교수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사례는 또 있다.
미국 버지니아 주립대학 물리요법·재활의학 교수를 역임한 케이시 케리건 박사는 '미 물리요법·재활의학저널' 최근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현재 시판 중인 신형 조깅 신발들이 실제로는 맨발로 달리거나 굽이 높은(하이힐) 신발을 신고 걷는 것보다 더 많은 압박을 관절에 가하고 있으며 관절에 대한 압박 증가는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케리건 박사는 매주 최소한 24㎞를 달리는 37명의 여성과 31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맨발이나 조깅화를 신고 달리도록 했으며 무릎과 발목·엉덩이 등에 표지기를 장착, 카메라를 통해 달리는 도중 체중의 압박에 의한 관절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조사 결과 대상자들이 조깅화를 신고 달릴 때 맨발의 경우보다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등에 부하(토크)가 더 많이 걸리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부하 증가는 여성들의 하이힐 착용보다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기존 상식을 파괴한다. 특히 세간에 화제를 모았던 '마사이족 걸음법'과는 상반돼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마사이족 걸음법은 발바닥의 뒤꿈치, 중간, 앞 순으로 걸으면 무게중심이 분산돼 발과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 골자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운동화가 한때 날개돋친 듯 팔리기도 했다. 하지만 리버만 교수의 주장대로라면 마사이족 걸음법을 응용한 운동화는 맨발로 걷는 것만 못해 이를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윤대헌기자 caos999@kyunghyang.com>
나이키나 아디다스, 퓨마 등 세계적 스포츠화 업체가 기절초풍할 일이 세계 유명 대학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고 이 논문이 세계 유수 학술지에 실렸다.
리버만 교수는 운동화를 신은 집단과 맨발로 달리는 집단, 운동화를 신었다가 맨발로 돌아선 집단 등 세 그룹의 걸음걸이를 바이오메카닉스 분석을 통해 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먼저 운동화를 신은 집단의 4분의 3은 1마일(1.609㎞)을 뛸 때 발뒤꿈치를 1000번 정도 지면에 직각으로 내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화는 발뒤꿈치와 발바닥이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해 발 전면에 고루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 하지만 실험 결과 운동화를 신은 사람들의 30~75%는 해마다 반복적인 발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맨발로 뛰는 집단은 발뒤꿈치를 내딛는 주법을 피하는 대신 발의 측면과 발바닥 앞쪽에 튀어나온 볼을 이용해 달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만큼 충격도 덜 받는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리버만 교수는 "발뒤꿈치를 이용하는 것보다 발의 앞 또는 옆쪽을 사용하면 발이 받는 충격도 훨씬 줄어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다수가 맨발로 뛰는 게 위험하고 다치기 쉽다고 생각하지만 그동안 쓰지 않았던 발 근육만 키운다면 아무리 거친 표면이라도 불편함이나 고통 없이 누구나 잘 달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증명하듯 동아프리카 대륙의 몇몇 나라에서는 맨발로 뛰었던 장거리 선수들이 있었다. 1960년 로마올림픽 마라톤에서 맨발로 뛰어 우승한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가 대표적이다.
네이처 1월호는 리버만 교수의 이같은 연구결과를 표지기사로 다뤘다. 네이처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대니얼 리버만과 공동 연구원들에 의한 바이오메카닉스 분석을 통해 맨발이 훨씬 더 편할 뿐 아니라 충격에 의한 반복적인 스트레스성 손상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운동학 및 역학적인 분석을 통해 현대식 신발은 사람들이 걸을 때 발뒤꿈치로 착지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확인했고, 신발을 신지 않은 사람들은 발의 엄지발가락 뒤 볼록한 부분 또는 발을 편평하게 해 걸었다고 보도했다. 안창이 있는 신발이 걸을 때 뒤꿈치 착지를 만든다는 것이다.
리버만 교수의 연구를 뒷받침하는 사례는 또 있다.
미국 버지니아 주립대학 물리요법·재활의학 교수를 역임한 케이시 케리건 박사는 '미 물리요법·재활의학저널' 최근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현재 시판 중인 신형 조깅 신발들이 실제로는 맨발로 달리거나 굽이 높은(하이힐) 신발을 신고 걷는 것보다 더 많은 압박을 관절에 가하고 있으며 관절에 대한 압박 증가는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케리건 박사는 매주 최소한 24㎞를 달리는 37명의 여성과 31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맨발이나 조깅화를 신고 달리도록 했으며 무릎과 발목·엉덩이 등에 표지기를 장착, 카메라를 통해 달리는 도중 체중의 압박에 의한 관절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조사 결과 대상자들이 조깅화를 신고 달릴 때 맨발의 경우보다 무릎이나 엉덩이, 발목 등에 부하(토크)가 더 많이 걸리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부하 증가는 여성들의 하이힐 착용보다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기존 상식을 파괴한다. 특히 세간에 화제를 모았던 '마사이족 걸음법'과는 상반돼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마사이족 걸음법은 발바닥의 뒤꿈치, 중간, 앞 순으로 걸으면 무게중심이 분산돼 발과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 골자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운동화가 한때 날개돋친 듯 팔리기도 했다. 하지만 리버만 교수의 주장대로라면 마사이족 걸음법을 응용한 운동화는 맨발로 걷는 것만 못해 이를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윤대헌기자 caos999@kyunghyang.com>
'맨발나그네 > 맨발걷기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맨발로 맨흙을 걷는 즐거움 (0) | 2010.05.07 |
---|---|
맨발 걷기와 리플렉솔로지 (0) | 2010.03.23 |
맨발로 달리기 (0) | 2010.03.23 |
“건강하게 달리고 싶다면 맨발로 뛰어라” (0) | 2010.03.22 |
“맨발로 잘 뛰던 인류, 신발이 망쳤다” (0) | 201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