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한국 강점 후 전국의 행정구역을 식민지 통치 체제로 개편하기 위해 1914년 3월 1일 군면 통폐합을 단행하였다.
수원군의 종덕(宗德) · 토진(土津) · 수북(水北) · 청룡(靑龍) · 감미(甘味) · 율북(栗北) · 포내(浦內) · 현암(玄巖) · 승량(升良) · 안외(安外) · 광덕(廣德) · 가사(佳士) · 숙성(宿城) · 언북(堰北) · 오정(梧井) 등 16개 면은 진위군(振威郡)에 속하게 되었으며 남양군 중 2개면을 제외한(대부大阜 · 영흥永興면은 부천 · 옹진군으로) 분향리(分鄕里) · 음덕리(陰德里) · 화척지(禾尺只) · 둔지곶(屯知串) · 쌍수리(雙守里) · 마도(麻道) · 송산(松山) · 수산(水山) · 세곶(細串) · 서여제(西如堤) · 신리(新里) · 미지곶(彌知串) · 저팔리(楮八里) · 팔탄(八灘) · 공이향(貢以鄕) · 장안(長安) · 초장(草長) · 우정(雨井) · 압정(鴨汀) 등 18개 면과 광주군(廣州郡)의 의곡(儀谷) · 왕륜(旺倫) 2개 면, 안산군(安山郡)의 월곡(月谷) · 북방(北方) · 성곶(聲串)의 3개면을 편입하여 21개면 279개리로 개편 · 관할하게 되었다.
21개면 ; 수원면(水原面), 매송면(梅松面), 안용면(安龍面), 태장면(台章面), 봉담면(峰潭面), 동탄면(東灘面), 성호면(城湖面), 정남면(正南面), 양감면(楊甘面), 일형면(日荊面), 향남면(鄕南面), 팔탄면(八灘面), 음덕면(陰德面), 마도면(麻道面), 서신면(西新面), 송산면(松山面), 비봉면(飛鳳面), 장안면(長安面), 우정면(雨汀面), 의왕면(儀旺面), 반월면(半月面)
수원지역 수원면(水原面) ; 북부면(北部面) + 남부면(南部面) → 1931.04.01 읍(邑) 승격, 1949.08.15 시(市) 승격 매송면(梅松面) ; 송동면(松洞面) + 매곡면(梅谷面) 안용면(安龍面) ; 용복면(龍伏面) + 안녕면(安寧面) → 1936.10.01 일부 수원읍 편입 태장면(台章面) ; 장주면(章洲面) + 태촌면(台村面) → 1936.10.01 일부 수원읍 편입 → 1963.01.01 안용면과 태장면을 태안면(台安面)으로 → 1985.10.01 태안읍으로 → 1994.12.26 영통리 일원, 신리 · 망포리 일부 수원 편입 → 1996.04.20 영통리 일원, 신리 · 망포리 일부 수원 편입 봉담면(峰潭面) ; 삼봉면(三峰面) + 갈담면(葛潭面) 동탄면(東灘面) ; 동북면(東北面) + 어탄면(漁灘面) 일부 성호면(城湖面) ; 산성면(山城面) + 청호면(晴湖面) + 초평면(楚坪面) + 어탄면 일부 → 1949.08.15 오산면으로 → 1960.01.01 오산읍으로 → 1989.01.01 오산시로 정남면(正南面) ; 남곡면(南谷面) + 정림면(正林面) 양감면(楊甘面) ; 상홀면(床笏面) + 양간면(楊澗면) + 감미면(甘味面) + 토진면(土津面) 일형면(日荊面) ; 일용면(日用面) + 형석면(荊石面) 향남면(鄕南面) ; 남면(南面) + 공향면(貢鄕面) 일부 + 분향리면(分鄕里面, 남양지역 소속)
남양지역 팔탄면(八灘面) ; 공향면 일부(수원지역 소속) + 분향리면(分鄕里面) + 팔탄면(八灘面) 음덕면(陰德面) ; 음덕리면(陰德里面) + 화척지면(禾尺只面) + 둔지곶면(屯只串面) → 1949.08. 남양면(南陽面)으로 마도면(麻道面) ; 마도면(麻道面) + 쌍수리면(雙守里面) 서신면(西新面) ; 신리면(新里面) + 서여제면(西如堤面) 송산면(松山面) ; 송산면(松山面) + 세곶면(細串面) + 수산면(水山面) 비봉면(飛鳳面) ; 미지곶면(彌只串面) + 저팔리면(楮八里面) 장안면(長安面) ; 장안면(長安面) + 초장면(楚長面) 우정면(雨汀面) ; 우정면(雨井面) + 압정면(鴨汀面)
광주지역 의왕면(儀旺面) ; 의곡면(儀谷面) + 왕륜면(旺倫面) → 수원지역의 일형면과 광주지역의 의왕면이 1936년 10월 1일에 일왕면(日旺面) 으로 통합. 1963년 1월 1일 당시 시흥군과 수원시에 분할 편입
안산지역 반월면(半月面) ; 월곡면(月谷面) + 북방면(北方面) + 성곶면(聲串面) + 달성면(達城面) → 1979.08.10 반월출장소 개설, 1986.01.01 안산시 승격 → 1994.12.26 수원시, 안산시, 군포시로 분할 편입
1931년 4월 1일 수원면을 읍으로 승격하고 1936년 10월 1일 일형면과 의왕면을 일왕면으로 통합하는 동시에 수원군내 고등 · 서둔 · 지소 · 동리 · 영화의 5개 리와 안용면의 평리 · 세리 등 2개리, 태장면의 지리 · 인계의 2개리를 수원읍에 편입되면서 1읍 19면이 되었다. | | |